표시 기준 분량
일반가공식품
· 영양성분 함량은 1회 제공량당, 100그램(g)당, 100미리리터(㎖)당 또는 1포장 당 함유된 값으로 표시합니다. 이 경우 영양성분 함량 단위는 식품등의표시기준(식약청고시 제2007-69호)〔표 2〕영양소 기준치의 영양소 단위와 동일하게 표시해야 합니다.
· 1회 제공기준량이 설정된 제품은 1회 제공량에 대한 영양성분을 표시해야 합니다. 단, 1회 제공기준량이 설정되지 않은 식품의 경우에는 100g(㎖)당 함유된 값으로 하되, 그 내용량이 100g(㎖) 미만의 제품은 해당제품의 포장량 당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 식품등의표시기준(식약청고시 제2007-69호) 9)영양성분등 다) 표시단위 및 1회 제공량 산출기준 및 동 기준「별지 3」1회 제공기준량 참고
열량 계산
영양성분의 표시함량을 사용하여 열량을 계산함에 있어(“00g 미만”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실제 값을 그대로 사용하여 열량을 산출합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알코올, 유기산의 함량에 각각 4, 4, 9, 7, 3㎉를 곱하여 그 합으로 산출합니다.
탄수화물 중 당알콜 및 식이섬유의 함량을 별도로 표시하는 경우의 탄수화물에 대한 열량 산출은 당알콜 1g당 2.4㎉(에리스톨 0㎉)를, 식이섬유는 1g당 2㎉를, 당알콜과 식이섬유를 제외한 탄수화물은 1g당 4㎉를 각각 곱한 값의 합으로 합니다.
표시단위, 반올림 규정, 0으로 표시할수 있는 양 등...
영양소함량은 반드시 정해진 단위를 이용하여 표시하여야 하며 ,제품의 영양성분 분석 등을 통해 얻어진 수치는 일정한 반올림 규칙에 의해 표시하여야 합니다.
“0”으로 표시할 수 있는 양
일반적으로 “0”으로 표시할 있는 양은 정량한계, 식품 내 분포된 함량,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양학적 영향 등을 고려하여 설정합니다. 표시해야 할 영양소의 함량이 극히 적어 “0”으로 표기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는 해당 영양소의 명칭과 함량을 표시하지 아니할 수 있습니다. 다만, "무지방" 등과 같이 영양강조표시를 한 제품은 ‘0’인 경우에도 이를 생략할 수 없습니다.
영양소 |
표시단위 |
표시방법 |
0으로 표시할 수 있는 양 |
열량 |
kcal |
가장 가까운 5㎉ 단위로 표시 |
5㎉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탄수화물 |
g |
가장 가까운 1g 단위로 표시 |
1g 미만은 "1g 미만“으로, 0.5g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식이섬유 |
g |
가장 가까운 1g 단위로 표시 |
1g 미만은 "1g 미만“으로, 0.5g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당류 |
g |
가장 가까운 1g 단위로 표시 |
1g 미만은 "1g 미만“으로, 0.5g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단백질 |
g |
가장 가까운 1g 단위로 표시 |
1g 미만은 "1g 미만“으로, 0.5g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지방 |
g |
5g 이하는 가장 가까운 0.1g 단위로, 5g을 초과한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1g 단위로 표시 |
0.5g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포화지방 |
g |
5g 이하는 가장 가까운 0.1g 단위로, 5g을 초과한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1g 단위로 표시 |
0.5g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트랜스지방 |
g |
5g 이하는 가장 가까운 0.1g 단위로, 5g을 초과한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1g 단위로 표시 |
0.5g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콜레스테롤 |
㎎ |
가장 가까운 5㎎ 단위로 표시 |
0.5㎎은"0.5㎎ 미만"으로, 0.2㎎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나트륨 |
㎎ |
5㎎ 이상 120㎎ 이하인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5㎎ 단위로, 120㎎ 초과시에는 10㎎ 단위로 표시 |
5㎎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비타민, |
㎎ |
영양소기준치의 명칭과 단위를 따름 |
영양소기준치의 2%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
단, 비타민 A, D, E는 괄호를 하여 IU 단위로도 표시할 수 있음.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 표시
· 영양소함량을 표시할 때에 영양소기준치에 대한 비율을 표시해야 합니다.
· ‘영양소기준치’란 소비자가 하루의 식사 중 해당식품이 차지하는 영양적 가치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식품간의 영양소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반인(4세 이상 어린이 및 성인)의 평균적인 1일 영양소 섭취 기준량을 정해 놓은 것입니다. 이와 달리 ‘영양권장량’은 한가지 영양소에 대해 성별, 연령별로 다른 권장량이 정해져 있어, 영양표시를 위한 기준으로는 사용하기에 어렵습니다.
%영양소기준치’는 해당식품에 포함된 각 영양소들의 영양소기준치에 대한 비율로, 하루에 섭취해야 할 영양소량의 몇 % 인가를 나타냅니다.
·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 표시단위는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시하여야 합니다.
<영양소 기준치표>
영양소 |
영양소 기준치 |
영양소 |
영양소 기준치 |
탄수화물 (g) |
328 |
비타민 B2 (㎎) |
1.2 |
식이섬유 (g) |
25 |
나이아신 (㎎ NE) |
13 |
단백질 (g) |
60 |
비타민 B6 (㎎) |
1.5 |
지방 (g) |
50 |
엽산 (㎍) |
250 |
포화지방 (g) |
15 |
비타민 B12 (㎍) |
1.0 |
콜레스테롤 (㎎) |
300 |
비오틴 (㎍) |
30 |
나트륨 (㎎) |
2000 |
판토텐산 (㎎) |
5 |
칼륨 (㎎) |
3500 |
인 (㎎) |
700 |
비타민 A (㎍ RE) |
700 |
요오드 (㎍) |
75 |
비타민 C (㎎) |
100 |
마그네슘 (㎎) |
220 |
칼슘 (㎎) |
700 |
아연 (㎎) |
12 |
철분 (㎎) |
15 |
셀렌 (㎍) |
50 |
비타민 D (㎍) |
5 |
구리 (㎎) |
1.5 |
비타민 E (㎎ α-TE) |
10 |
망간 (㎎) |
2.0 |
비타민 K (㎍) |
55 |
크롬 (㎍) |
50 |
비타민 B1 (㎎) |
1.0 |
몰리브덴 (㎍) |
25 |
비타민 A, D, E는 기준치표에 따른 단위로 표시하되, 괄호를 하여 IU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영양소함량 강조표시 기준
식품 위생법에 근거한 일반 가공식품의 영양소함량 강조표시기준은 Codex 규격을 수용한 것으로 한국인의 식사에서 섭취를 제한하는 영양소인 열량, 총지방,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당, 나트륨과 섭취를 권장하는 영양소인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및 무기질에 대하여 식품 100g당, 100㎖당 또는 100㎉당 사용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영양소함량 강조표시 기준표>
영양성분 |
강조표시 |
표시조건 |
열량 |
저 |
식품 100g당 40kcal미만 또는 식품 100㎖당 20kcal미만일 때 |
무 |
식품 100㎖당 4kcal미만일 때 | |
지방 |
저 |
식품 100g당 3g미만 또는 식품 100㎖당 1.5g미만일 때 |
무 |
식품 100g당 또는 식품 100㎖당 0.5g미만일 때 | |
포화지방 |
저 |
식품 100g당 1.5g미만 또는 식품 100㎖당 0.75g미만이고, 열량의 10%미만일 때 |
무 |
식품 100g당 0.1g미만 또는 식품 100㎖당 0.1g미만일 때 | |
트랜스지방 |
저 |
식품 100g당 0.5g 미만일 때 |
콜레스테롤 |
저 |
식품 100g당 20㎎미만 또는 식품 100㎖당 10㎎미만이고, 포화지방이 식품 100g당 1.5g미만 또는 식품 100㎖당 0.75g미만이며, 포화지방이 열량의 10%미만일 때 |
무 |
식품 100g당 5㎎미만 또는 식품 100㎖당 5㎎미만이고, 포화지방이 식품 100g당 1.5g 또는 식품 100㎖당 0.75g미만이며 포화지방이 열량의 10%미만일 때 | |
당류 |
무 |
식품 100g당 또는 식품 100㎖당 0.5g미만일때 |
나트륨 |
저 |
식품 100g당 120㎎미만일 때 |
무 |
식품 100g당 5㎎미만일 때 | |
식이섬유 |
함유 또는 급원 |
식품 100g당 3g이상 또는 식품 100kcal당 1.5g이상일 때 |
고 또는 풍부 |
식품 100g당 6g이상 또는 식품 100kcal당 3g이상일 때 | |
단백질 |
함유 또는 급원 |
식품 100g당 1일 영양소 기준치의 10%이상, 식품 100㎖당 1일 영양소 기준치의 5%이상일 때 또는 식품 100kcal당 1일 영양소 기준치의 5%이상일 때 |
고 또는 풍부 |
식품 100g당 1일 영양소 기준치의 20%이상, 식품 100㎖당 1일 영양소 기준치의 10%이상일 때 또는 식품 100kcal당 1일 영양소기준치의 10%이상일 때 | |
비타민 또는 무기질 |
함유 또는 급원 |
식품 100g당 1일 영양소 기준치의 15%이상, 식품 100㎖당 1일 영양소 기준치의 7.5%이상일 때 또는 식품 100kcal당 1일 영양소기준치의 5%이상일 때 |
고 또는 풍부 |
식품 100g당 1일 영양소 기준치의 30%이상, 식품 100㎖당 1일 영양소 기준치의 15%이상일 때 또는 식품 100kcal당 1일 영양소기준치의 10%이상일 때 |
출처: http://www.foodnara.go.kr/st_contents/info/infoguidehow.html
기초대사량
생명유지활동(호흡,체온조절,혈류등)에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로,
살아 있는 한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소비되는 에너지입니다.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근육량이 많을수록 기초대사는 많아져, 그만큼 살이 찌기 어려운 체질이된다고 합니다.
기초 대사량 산출방법
1일의 기초대사량(남성)=66.47+(13.75*체중)+(5.0*신장)-(6.76*연령)KCal
1일 기초대사량(여성)=665.1+(9.56*체중)+(1.85*신장)-(4.68*연령)KCal
그리고 기초대사량을 0.6으로 나눈 숫자가 1일 평균섭취 칼로리량입니다.
1일의 식사량(칼로리)=기초대사량/0.6Kcal
이 숫자는 약간 많이 나오는 편이므로 운동량이 부족한 분은 식사량도 계산에서 나온 수치보다 적게 섭취하는것이 좋다고 하네요.
'분류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놈의 물가 (1) | 2010.11.18 |
---|---|
It's a fine Autumn day. (0) | 2010.11.13 |
정말 덥다. (0) | 2010.08.05 |
항상 깨어있으라. (0) | 2010.07.13 |
“재정난 탓 교육질 낮아진다”던 대학 누적적립금 3조5천억 (0) | 2010.07.13 |